본문 바로가기

개발

(326)
개발/unix
solaris 정리 4 - [ Device ] Device 설정 정보 보기 - Device Naming Conventions Logical device name : /etc/dev/ Physical device name : /devices Instance name : /etc/path_to_inst - # cat /etc/path_to_inst (인식하는 정보만 보여줌) 각 device의 instance name, number와 physical name display sd : disk fd : floppy disk se : serial ports A and B st : tape devices power : power management bus su0 : keyboard su1 : mouse audiocs : crystal semiconductor e.. 2012.02.05
개발/unix
solaris 정리 3 - [ Managing Initialization Files,Managing User Accounts ] Managing Initialization Files - Intialization Files for the Primary Shells Shells System-Wide Initialization Files Primary Initialization Files Read at Login User Initialization Files Read When a New Shell is Started Shell Path Name Bourne /etc/profile $HOME/.profile /sbin/sh Korn /etc/profile $HOME/.profile $HOME/.kshrc $HOME/.kshrc /bin/ksh C /etc/.login $HOME/.cshrc $HOME/.login $HOME/.cshrc .. 2012.02.05
개발/unix
solaris 정리 2 - [ Boot PROM ] Boot PROM Stop : 부팅시 Stop키가 눌려져 있으면 POST 과정을 검사 안함. Stop+d : default로 cpu,mem검사를 하지만 Stop+d는 집중적으로 전체 device 검사. Stop+n : 모든 상태 초기화. boot prom의 변수를 잘못 설정하여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Stop+n키를 누른 상태에서 재부팅하면 모든 변수를 기본값으로 바꾸어 처음 시스템을 사용할때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Command banner boot help printenv setenv reset-all set-defaults sifting text .registers probe-scsi probe-scsi-all probe-ide probe-fcal-all show-devs devalias n.. 2012.02.05
개발/unix
Solaris 정리 1 - [ Solaris 부팅 순서 ] Solaris 부팅 순서 1. PROM이 POST를 실행 2. boot device 결정 3. 부트프로그램인 bootblk를 load 4. bootblk는 2번째 부트프로그램인 ufsboot를 load 5. ufsboot는 kernel을 load (32bit or 64bit) 6. kernel은 자신을 초기화하고 module을 load 7. configuration 파일인 /etc/system을 읽음 8. kernel이 /sbin/init을 실행 boot PROM 단계 : 1,2,3 boot program 단계 : 4,5 kernel 초기화 단계 : 6,7 init 단계 : 8 5) ufsboot -> 32bit or 64bit kernel을 load한다. 32bit kernel directory : /.. 2012.02.05
개발/unix
Solaris Telnet/SSH 원격에서 ROOT로 접근하기 Telnet # vi /etc/default/login ... CONSOLE=/dev/console -> #CONSOLE=/dev/console로 주석처리 ... SSH #vi /etc/ssh/sshd_config 130 # maybe denied access by a PAM module regardless of this setting. 131 # Valid options are yes, without-password, no. 132 PermitRootLogin no -> PermitRootLogin yes # svcadm refresh ssh //ssh 서비스 재구동 2012.02.05
개발/해킹
DNS 싱크홀 적용 안내서 KISA PDF DNS 싱크홀 적용 안내서 인터넷침해대응센터 1.1 DNS 정의 o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어로 특정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숫자로 된 IP주소를 일일이 기억하지 않고 도메인 네임(ex : kisa.or.kr) 만으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메인 네임을 IP로 전환시켜주는 시스템이다. o 집배원이 집 주소를 알아야 우편물을 배달할 수 있는 것처럼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 할 사이트의 IP주소를 알아야 한다. 숫자로 된 복잡한 IP주소를 외우지 않아도 DNS를 이용하면 도메인 네임 만으로 원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1.2 DNS 사용 전․후 비교 o 초창기 소수의 호스트들만 연결되었던 환경에선 각 호스트에 대해 숫자 형식의 네트워크 주소를 .. 2012.02.05